맨위로가기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은 1864년 캘리포니아 잭슨에서 태어난 미국의 천문학자이다. 윌리엄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수학 강사, 태평양 대학교 교수 등을 거쳐 1895년 릭 천문대에서 천문학자 보조로 일하며 이중성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윌리엄 허시와 공동으로 쌍성 연구를 진행했으며, 1915년까지 약 3,100개의 새로운 쌍성을 발견하여 1932년 '북극에서 120° 이내의 새로운 쌍성 일반 목록'을 발표했다. 이 업적으로 1926년 브루스 메달을 수상했으며, 혜성 및 행성의 위성 궤도 연구, 저서 '바이너리 스타즈' 출판, 태평양 천문학회 회장 및 간행물 편집자 역임 등의 활동을 했다. 그는 청각 장애가 있었으며, 1888년 제시 토마스와 결혼하여 세 아들과 한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천문학자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9세기 천문학자 - 존 허셜
    영국의 천문학자, 수학자, 화학자이자 사진가인 존 허셜은 윌리엄 허셜의 아들로, 남반구 천체 관측, 항성 연구 기여, 율리우스일 사용 제안, 사진 용어 제안 및 청사진 발명 등 천문학과 사진술 발전에 공헌했다.
  • 20세기 천문학자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20세기 천문학자 - 솔 펄머터
    솔 펄머터는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를 이끌며 우주의 가속 팽창을 발견하여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Ia형 초신성을 이용한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증거를 제시하고 암흑 에너지 존재를 시사하는 데 기여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조지 스무트
    조지 스무트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우주론학자로, COBE 위성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빅뱅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 공로로 2006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 미국의 천문학자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 (1864-1951)
이름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
원어 이름Robert Grant Aitken
다른 이름R.G. 에이트켄
출생1864년 12월 31일
출생지캘리포니아주잭슨
사망1951년 10월 29일
사망지캘리포니아주버클리
국적미국
분야천문학
소속캘리포니아 대학교, 릭 천문대
주요 업적쌍성

2. 생애 및 교육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은 스코틀랜드 이민자인 로버트 에이트켄과 빌헬미나 데피나우 사이에서 캘리포니아주 잭슨에서 태어났다.[1] 그는 매사추세츠주에 있는 윌리엄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1887년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892년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상을 받았다.

1887년부터 1891년까지 캘리포니아 리버모어에서 수학 강사로 일했고, 이후 태평양 대학교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1895년 캘리포니아에 있는 릭 천문대에서 천문학자 보조 자리를 제안받아 천문학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에이트켄은 부분적으로 청력을 잃어 보청기를 사용했다. 그는 1888년경 제시 토마스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으며, 아내 제시는 1943년에 별세했다. 그의 아들 로버트 토마스 에이트켄은 태평양 섬 문화를 연구한 인류학자였고, 손자 로버트 베이커 에이트켄은 널리 알려진 선종의 스승이자 작가였다. 손녀 마조리 볼드는 콜로이드를 전문으로 하는 유명한 화학자였다.

3. 경력

1887년 윌리엄스 대학교를 졸업한 후, 에이트켄은 1887년부터 1891년까지 리버모어에서 수학 강사로 일했으며, 1892년 윌리엄스 칼리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퍼시픽 대학교의 수학 교수가 되었다. 1895년 그는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릭 천문대에서 천문학 조교 자리를 제안받았다.

릭 천문대에서 그는 쌍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하여 그 위치를 측정하고 서로의 궤도를 계산했다. 1899년부터 W. J. 허시와 협력하여 쌍성 목록을 체계적으로 만들기 시작했으며, 이 작업 결과는 릭 천문대 게시판에 게재되었다. 1905년 허시가 떠나자 에이트켄은 혼자 조사를 계속 진행했으며, 1915년까지 허시가 발견한 1,300개 외에 약 3,100개의 새로운 쌍성을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는 1932년에 ''북극에서 120° 이내의 새로운 쌍성 일반 목록''(''New General Catalogue of Double Stars Within 120° of the North Pole'')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이 목록의 궤도 정보는 천문학자들이 많은 수의 별에 대한 질량 통계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쌍성 목록 작성에 기여한 공로로 그는 1926년 권위 있는 브루스 메달을 받았다.

에이트켄은 쌍성 연구 외에도 혜성행성위성 위치를 측정하고 궤도를 계산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1908년에는 태평양 중앙에 있는 플린트 섬으로 일식 탐험대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쌍성''(''The Binary Stars'')은 1918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1935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학계 활동으로는 1894년 태평양 천문학회에 가입한 후, 1899년1915년 두 차례에 걸쳐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1898년부터 1942년까지 오랜 기간 동안 태평양 천문학회 간행물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1932년에는 준회원이었던 왕립 천문학회에서 다윈 강연을 했다. 1918년부터 1928년까지는 국제천문연맹쌍성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4. 개인사

에이트켄은 부분적으로 청각 장애가 있어 보청기를 사용했다. 그는 1888년경 제시 토마스와 결혼하여 슬하에 3남 1녀를 두었다. 아내 제시는 1943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 로버트 토마스 에이트킨은 태평양 섬 문화를 연구한 인류학자였다. 손자 로버트 베이커 에이트킨은 널리 알려진 선불교 스승이자 작가였으며, 손녀 마조리 J. 볼드는 콜로이드를 전문으로 연구한 유명한 화학자였다.

5. 수상 및 영예

로버트 그랜트 에이트켄은 이중성 연구 분야에서의 뛰어난 업적을 인정받아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받고 여러 학술 기관의 회원으로 선출되는 영예를 얻었다. 특히 쌍성 목록화 작업은 그에게 1906년 랄랑드 상, 1926년 브루스 메달, 1932년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과 같은 주요 천문학상을 안겨주었다. 또한 191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3]1919년 미국 철학 학회[4]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퍼시픽 대학교, 윌리엄스 칼리지, 애리조나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등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공헌을 기리기 위해 소행성 3070 에이트켄, 크레이터인 에이트켄, 그리고 NASA 에임스 연구 센터의 에이트켄 슈퍼컴퓨터 등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5. 1. 수상


  • 랄랑드 상 (1906, 윌리엄 허시와 공동 수상)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1918)[3]
  • 미국 철학 학회 회원 선출 (1919)[4]
  • 브루스 메달 (1926)
  •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1932)
  • 리텐하우스 메달 (1934)
  • 명예 박사 학위

:* 퍼시픽 대학교 명예 이학 박사

:* 윌리엄스 칼리지 명예 이학 박사

:* 애리조나 대학교 명예 이학 박사

:* 캘리포니아 대학교 명예 법학 박사

5. 2. 회원

에이트켄은 다양한 학회 및 기관에서 활동했다. 1894년에 태평양 천문학회에 가입했으며, 1899년1915년에는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1898년부터 1942년까지 태평양천문학회 간행물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1918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3] 같은 해부터 1928년까지 국제천문연맹의 이중성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1919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1932년에는 준회원이었던 왕립천문학회에서 다윈 강연을 했다.

5. 3. 명예 학위

퍼시픽 대학교, 윌리엄스 칼리지,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명예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는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5. 4. 그의 이름을 딴 것

참조

[1] 서적 Aitken, Robert Grant https://www.anb.org/[...] 2000-02
[2] 서적 The Binary Stars Dover 1964
[3] 웹사이트 Robert Aitken https://www.nasonlin[...] 2023-09-27
[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9-27
[5] 웹사이트 "(3070) Aitken = 1907 HA = 1942 GQ = 1949 GK"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